본문 바로가기

서버

(2)
가상서버 웹, DB 서버 분리 일단 오라클 VM 을 사용했다. 개발용으로 웹서버와 DB를 하나의 가상서버에 몰아두고 사용했으나 다른 사람과 페이지를 공동으로 개발할 일이 생겨서 기존 개인적으로 사용하던 DB에 접근을 못하게 웹과 DB서버를 분리하는 작업을 했다.vm들의 os는 리눅스다.(centos7) - 호스트pc = 로컬 PC 를 의미 ( 내 컴퓨터 그 자체)- VM(가상머신) = 호스트 내에 구축된 PC를 의미 일단 가상네트워크는 이정도만 알고 작업했다.Host-only : 외부와 단절된 네트워크로 vm 끼리만 통신 가능NAT : 호스트pc로 부터 ip를 할당받아 vm이 자체 DHCP서버를 띄워 내부 네트워크 대역 할당 및 통신, 호스트pc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호스트pc ip로 접근하여 올 때 분기시키는 방식)Br..
웹서버, DB서버 분리 및 연동 virtualbox 로 가상머신 2대를 만들어 웹과 db서버를 분리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처음에는 둘다 net 설정으로 했다가 웹서버는 net과 host-only 설정 DB서버는 host-only 설정으로 하여 외부에서 DB서버로는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계획을 하고 진행하였다. 기본적인 각 서버 세팅은 모두 완료되었다. 웹서버에 php를 깔고 oci와 instant client를 깔고 DB서버에 오라클을 깔고 등등... 자세한 설치는 설치,세팅 카테고리의 [Oracle 19c + CentOS7 사일런트(Silent)] 참고 아무튼 설치는 끝나고 DB서버에서 sqlplus 로 확인해보니 잘 되었다. 개인 pc에서 DB로 붙어서 select 를 해보니 잘 되었다. 외부 pc에서 DB서버로 직접 붙지도 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