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적으로 함수를 사용할 때 function() 을 사용하는데 어느순간부터 () => 이런 식의 함수가 보이기 시작했다.
화살표함수라고 불리는 함수선언 방식인데 일반함수를 더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고한다.
var a = function(){
return new Date();
}
var a = () => {
return new Date();
}
var a = () => new Date();
같은 함수 a를 일반함수 선언 방식과 화살표함수 선언 방식으로 나눠둔 예시이다.
var a=10;
var b = function(a){
return a*a;
}
var b = (a) => {
return a*a;
}
var b = (a) => a*a;
인자가 있는 경우
var a=10;
var b=20;
var c = function(a,b){
return a*b;
}
var c = (a,b) => {
return a*b;
}
var c = (a,b) => a*b;
인자가 여러개인경우
추가적으로
function writeLog(stringLog){
console.log(stringLog);
}
var d = function(){
writeLog('출력될로그');
}
var d = () => {
writeLog('출력될로그');
}
return이 없거나, 값이나 식이 아닌 객체일 때 화살표함수로 표현할 경우 중괄호({ })는 생략 할 수 없다.
또한 this 를 사용할 때 일반함수와 화살표함수는 this 바인딩이 서로 다르다
개인적으로 선호하지 않는다.
보기 힘들어...
참조:
반응형
'자바스크립트(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민/외국인 등록번호 검사 (0) | 2024.03.22 |
---|---|
라디오버튼 check속성 (0) | 2024.03.22 |
javascript var? let? const? (0) | 2024.03.21 |
javascript로 만든 jquery empty (0) | 2024.03.21 |
window/document , on/ready (0) |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