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치,세팅

가상머신 CentOS7 설치

반응형

간단하게 정리하는겸 작성한다.

virtualbox를 이용했다는 점 참고.

준비물 : centos7.iso

  1. 새로만들기 - 폴더 지정하고 램과 저장용량 정하고 다음다음 하다보면 하나 뚝딱
  2. 시작 - 시작을 하면 centos가 install 알아서 install 되는데 최소설치를 기준으로 설정해야되는 부분중 하나가 네트워크 부분이다. 네트워크 부분에서 이더넷을 켜놓자. 이더넷을 꺼놓는경우 ip를 따로 설정해줘야된다.
  3. install이 완료되면 먼저 yum list telnet 를 실행해보자. 어떠한 이유로든 yum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부분이 잘못된 것이다. 확인해보자
  4. 네트워크설정할때 필자는 nat 으로 지정하였다. nat은 포트포워딩으로 특정 호트스ip와 게스트ip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부에서 10.1.2.3:80 으로 접근하고 싶다면 호스트ip와 port에 10.1.2.3과 80을 입력해주면 되고, 게스트ip는 가상머신의 ip와 받아들일 port를 설정하여 적어주면된다.
  5. 여기서 확인해줘야되는 파일이 있는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8 데 파일이다. 마지막 enp0s8 은 이더넷 설정에 따라 다르다. enp0s3 과 enp0s8이 있는듯한데 차이점은 모르겠다.
  6. 저 파일을 확인해보면 ONBOOT 라는 게 있을텐데 만약 no 라고 되어있다면 yes로 바꿔주자.
  7. 본인이 nat을 안쓰고 다른 고정ip를 설정하고자하면 저 파일에 IPADDR, PREFIX, GATEWAY 를 설정해주면된다. (이부분은 따로검색)
  8. 이래도 yum이 오류가나고 네트워크가 정상작동 하지 않는다면 /etc/resolv.conf 파일을 확인해보자
  9. nameserver 부분에 8.8.8.8 (구글), 168.126.63.1(KT), 168.126.63.2(SKT) 네트워크로 알고있으니 저 3개가 아니라 이상하게 되어있다면 저 부분도 수정해주자
  10. 6,7,8,9 번 체크가 끝났다면 systemctl restart network로 재실행해주자. 9번 부분은 네트워크를 restart하면 원래대로 돌아와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경우에는 6번에서 설정할때 DNS1=8.8.8.8 이런식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11. 저기까지 설정해준다음 포트포워딩에서 설정했던 게스트 포트들 ex) 80, 88, 22 등등이 있다면 방화벽 규칙에 추가해주자.
 firewall-cmd --list-ports #설정되어있는 방화벽 규칙 확인
# firewall-cmd --add-port=22/tcp --permanent    # SSH 포트(22) 추가
# firewall-cmd --add-port=3306/tcp --permanent  # MySQL 포트(3306) 추가
# firewall-cmd --reload                         # 방화벽 규칙 재로드

저런식으로 설정하면 끝

이런식으로 설정한 후 yum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마도 잘 될 것이다.

추가로 mysql 을 처음 설치하면 mysql -u root -p 로 로그인할때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는데 처음 설치할때는 그냥 엔터를 누르면 알아서 비밀번호 설정하라고 안내해준다.

그리고 SELinux 정책도 확인해주자.

같은 서버에 php서버와 mysql서버가 같이 설치되어있다면 php쪽에서 mysql에 접근이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해서

setsebool -P httpd_can_network_connect_db 1

SELinux가 mariadb를 차단하지 않도록 풀어주자

'설치,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19c + CentOS7 사일런트(Silent)  (1) 2024.03.26